LG전자 기업분석 - 주요 사업, 경쟁력, 전망
LG전자가 올 1분기 매출 20조4159억원, 영업이익 1조497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역대 분기 매출 가운데 매출은 두 번째, 영업이익은 세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2009년 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처음으로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을 제치기도 했습니다. 역대 최고 수준의 분기 실적을 기록한 이유는 사업 구조 및 오퍼레이션 방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워룸 태스크 등 전사적인 노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LG전자를 주요 사업 내용, 경쟁력, 전망을 기반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사업 내용 사업 내용은 H&A 사업 부문, HE 사업 부문, VS 사업 부문, BS 사업 부문으로 구분됩니다. 지난해 기준 매출 비중은 각각 39%, 23.1%, 9.4%, 7.6% 순으로 차지했습니다..
2023. 5. 11.
삼성전자 기업분석 - 주요 사업, 경쟁력, 전망
삼성전자의 올 1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보다 95.5% 급감한 640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반도체사업을 하는 DS 부문에서 4조5800억원의 적자가 난 영향이 컸습니다. 주요 사업, 경쟁력, 전망을 중심으로 삼성전자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사업 내용 삼성전자의 사업 부문은 DX 부문, DS 부문, SDC, Harman으로 구분됩니다. 지난해 기준 매출비중은 DX 부분 62.9%, DS 부문 31.3%, SDC 12.9%, Harman 3.9% 순으로 차지했습니다. DX 부문은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휴대폰, 태블릿, 웨어러블 제품을 생산·판매합니다. Neo QLED TV 등 프리미엄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프리미엄 TV,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출시한 라이프..
2023. 5. 10.
LG디스플레이 기업분석 - 사업 내용, 경쟁력, 전망
LG디스플레이는 올 1분기 영업적자 1조원을 기록하면서 4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기록했습니다. TV, IT 제품 수요 부진과 더불어 전방 산업의 강도 높은 재고 조정이 영업적자의 이유로 분석됩니다. 주요 사업, 경쟁력, 전망을 중심으로 LG디스플레이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사업 내용 사업 내용은 OLED 및 TFT-LCD 등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한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맡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은 22년 기준 TV 26%, IT 43%, 모바일 및 기타 부분이 31%를 차지했습니다. 글로벌 세트 메이커가 LG디스플레이의 주요 고객으로, 상위 10개 고객사향 매출이 전체 매출의 86% 정도를 차지합니다. LG디스플레이는 수출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22년 연간 누적 해외 매출 비중은 ..
2023. 5. 9.
하이브 기업분석 - 사업 내용, 시장 여건, 전망
최근 하이브의 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는 BTS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지만, 르세라핌, 뉴진스, 세븐틴 등 소속 아티스트들의 경쟁력이 강화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팬 플랫폼인 위버스의 성장도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사업 내용, 국내외 시장 여건, 전망 등을 중심으로 하이브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하이브 사업 내용 하이브의 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하이브는 매출을 앨범, 공연, 광고·출연료 및 매니지먼트, MD 및 라이선싱, 콘텐츠, 팬클럽 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은 지난해 기준 앨범 31.08%, 공연 14.54%, 광고/출연료/매니지먼트 9.11%, MD/라이선싱 22.27%, 콘텐츠 19.23%, 팬클럽 등 기타 3.78%를 차지했습니다. 앨범 부문은 국내외 아이돌 시장의 팬들이..
2023. 5. 8.
LG화학 기업분석 - 주요 사업, 경쟁력, 전망
LG화학은 지난해 창사 이래 최초로 매출 50조원을 돌파하는 등 이차전지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해나가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매출 6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습니다. 주요 사업, 경쟁 우위, 전망을 바탕으로 LG화학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LG화학 사업 내용 LG화학의 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석유화학, 첨단소재 사업 부문, 생명과학 사업 부문, LG에너지솔루션 사업부, 공통 및 기타 부문으로 구분돼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매출 비중은 LG에너지솔루션 49.3%, 석유화학 사업 부문 40.8%, 첨단소재 사업 부문 6.6%, 생명과학 사업부문 1.6%, 공통 및 기타 부문 1.6%를 차지했습니다. 석유화학사업은 납사 등을 원료로 해 에틸렌, 프로펠린, 부타디엔, 벤젠 등 기초..
2023. 5. 7.
LG생활건강 기업분석 - 사업 내용, 시장 여건, 전망
LG생활건강의 올 1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LG생활건강은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6837억원, 영업이익 145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2.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6.9% 감소했습니다. 한중관계가 악화될 경우 2분기 실적도 부진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LG생활건강에 대해 핵심사업, 시장 여건, 전망 등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1. LG생활건강 핵심 사업 LG생활건강 핵심 사업은 Beauty(화장품), HDB(생활용품), Refreshment(음료)로 구분됩니다. 2022년 연간 매출 기준은 Beauty 44.7%, HDB 30.8%, Refreshment 24.6%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Beauty 사업 부문의 주요 럭셔리 브랜드인 '후', '숨', '오휘'는 회사..
2023. 5. 5.
삼성SDI 기업 분석 - 사업 내용, 시장 여건, 경쟁 우위
삼성SDI는 국내 배터리 3사 중 하나로 꼽힙니다. 올해 1분기 기준 세계 시장점유율은 4.6%로 6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본사를 거점으로 미국, 중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헝가리 등에 20개의 종속기업을 두고 있습니다. 삼성SDI를 주요 사업 내용, 시장 여건, 전망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삼성SDI 사업 내용 삼성SDI 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에너지솔루션 사업 부문과 전자재료 사업 부문으로 구분됩니다. 에너지솔루션 사업은 중/대형전지, 소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생산·판매합니다. 전자재료 사업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합니다. 매출 비중은 2022년 기준 에너지솔루션 사업이 87%, 전자재료 사업이 13%를 차지했습니다. 에너지솔루션 사업 중 자동차형 중..
2023. 5. 3.
삼성SDS 기업 분석 - 주요 사업, 강점, 전망
삼성SDS는 IT서비스 상장 기업 순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물류 사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삼성SDS의 주요 사업 내용 및, 강점, 전망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1. 삼성SDS 주요 사업 삼성SDS의 주요 사업은 IT서비스와 물류 2개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T서비스 부문을 살펴보면 크게 SI, ITO,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SI는 엔터프라이즈솔루션 제공 사업으로 주요 서비스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체 개발한 스마트팩토리, 업무자동화솔루션, 블록체인, AI/애널리틱스,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IoT 등의 솔루션을 기반으로 IT 서비스 구축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기업경영에 필수적인 BRP, SCM, CRM 등 업무..
2023. 5. 3.